DBeaver 사용법 정리(2) 본문
DBeaver 사용법 정리(2)
- 2025. 1. 1. 15:28
이번 장에서는 DB 연결과 관련한 기능을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이전 장에서 설치가 다 되었다면 실행이후에 아래와 같이 화면이 보여지는데
붉은 색으로 표시된 것을 이용하여 DB연결을 시도한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팝업이 뜨고 사용가능한 DBMS 종류가 조회가 된다.
좌측 메뉴를 한번 살펴본다면
'All' 은 전체 사용 가능한 DB를 표시하고,
'Popualr'는 사용이 많은 DB만을 표시하고,
'SQL'은 SQL 방식의 DB만을 표시하고 (NoSQL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NoSQL'은 NoSQL 방식의 DB만을 표시하고 (SQL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Analytica' 는 통계 분석을 위한 DB만을 표시하고,
'Timeseries'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DB만을 표시하고,
'Embedded' 는 소규모로 숨겨진 상태로 유지보수가 거의 소요되지 않도록 하는 DB를 표시하고,
'Hadoop/BigData' 는 하둡과 빅데이터에 사용되는 DB를 표시하고,
'Full text search'는 긴 문자의 텍스트 검색에 사용되는 DB를 표시하고,
'Graph database'는 노드(node), 엣지(edge), 속성(Property) 으로 구성된 DB를 표시한다.
이처럼 많은 DB가 있지만 하나하나 다 살펴보기에는 좀 어려워서
가장 쉬운 mariadb를 이용하여 진행해 보겠다.
mariadb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면 아래 창이 뜨고 DB 정보를 입력한다.
접속 IP, 포트, DB명,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연결 속성의 수와 유형은 드라이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내장 드라이버(SQLite, Derby Embedded, HSQLDB, H2 Embedded 등)는
원격 드라이버와 달리 데이터베이스 경로만 필요하다.
상단에 Driver Properties 탭을 선택하면 마리아db에 대한 JDBC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으라고 한다.
물론 기존에 이미 JDBC드라이버가 다운로드 되어 있다면 더 이상 해당 창이 뜨진 않는다.
다른 DB를 접속해도 동일하다. 해당 DB에 대한 접속 드라이버를 다운받은 이후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후에 연결 테스트를 클릭하여 연결이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완료를 클릭하면 최종 연결이 끝나고 데이터베이스 탐색기 의 연결 트리에 나타난다 .
좀 더 상세한 옵션까지 본다면 SSH, 프록시, SSL, 쿠버네티스에 대한 설정이다.
SSH 터널 데이터베이스에 보안 연결이 필요한 경우 SSH 터널을 구성하고,
특정 프록시 서버를 통해 연결을 라우팅해야 하는 경우 SOCKS 프록시를 설정한다 .
SSL 구성 연결에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SSL을 활성화하고 구성한다.
쿠버네티스 데이터베이스가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 호스팅된 경우 Kubernetes 설정을 해야한다.
메인 설정에서 'Connection details' 를 클릭하고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
프로젝트를 나가게 되면 개발, 테스트, 운영별로 DB가 다른 상황이 많은데 그 DB별로 환경을 기본적으로
적용 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이용이 된다.
하나씩 본다면
연결 이름 -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연결에 특정 이름을 지정
연결 유형 - 운영, 개발, 테스트 등 연결 유형을 선택. 유형별로 색상이 달라서 구분하기가 용이하다.
운영인 경우, auto commit이 해제가 되니 유의해야 한다.
설명 - 연결에 대한 설명을 추가
네비게이터 뷰 - 탐색기 보기 설정을 사용자 정의. 본인이 원하는 UI를 지정할 수 있다.
연결 폴더 - 특정 폴더에 넣어서 연결을 정리
추가 옵션을 보면
보안 - 무조건 read로 설정하거나 특정 기능을 제약
필터 - 각 Object 별로의 필터를 구성. 포함시키거나 제외시키기 위함
가상 모델 - 편집기 다음을 포함하여 가상 모델 설정을 재설정
지금까지 DB접속에 대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부터는 각 기능 별로 확인해 보겠다.
'DB관련 > MySql, Maria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eaver 사용법 정리(5) (0) | 2025.01.13 |
---|---|
DBeaver 사용법 정리(4) (0) | 2025.01.06 |
DBeaver 사용법 정리(3) (0) | 2025.01.05 |
DBeaver 사용법 정리(1) (0) | 2024.12.30 |
dbeaver 엑셀 import (0) | 2021.01.29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