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eaver 사용법 정리(1) 본문
DBeaver 사용법 정리(1)
- 2024. 12. 30. 22:15
728x90
과거에는 각각의 DB 별로 접속을 위한 툴이 별도로 존재해왔고 지금도 그렇다.
Oracle 의 경우에는 Oracle Developer 이나 Toad, MS-SQL 은 SQL Studio 이나 Orange, MySql 은 HeidiSQL 등 의 툴이
제각각으로 사용되고 사용법도 제각각 달랐다. (물론 비슷한 구석은 대략 있었지만)
하지만 지금은 통합된 DB 툴이 나오게 되어서 제각각 사용되던 사용법을
하나로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게 바로 DBeaver 이다.
DBeaver는 자바 베이스로 구현된 툴로써 다른 전용 DB툴에 비해서는 약간 느리지만
사용함에는 전혀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앞으로 이 DBeaver라는 툴에 대해서 자세히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다.
우선 설치부터 해보도록 하자. 물론 이 툴을 설치하기 전에 이미 DB 서버가 존재가 필요하다.
일단은 로컬 PC에 무료 DB인 maria DB가 설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설명을 진행하겠다.
(DB 접속 별로 기능이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이 부분은 툴 설명을 진행하면서 비교를 하겠다)
- 사이트 접속
아래의 사이트로 접속하여 다운로드로 접근한다. (Dbeaver 주소) - OS에 맞는 설치 파일 다운로드
아래의 그림에서 처럼 다양한 OS에 맞는 프로그램이 있지만 일단 windows 설치용으로 진행하겠다.
참고로 zip 파일로 설치하지 않고 실행파일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업데이트하기가 번거로와서 추천하지 않는다.
(zip 파일로 사용할때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 받으면 특정 폴더로 내려받아 지는데 해당 파일을 기존 프로그램 폴더에
압축을 해제하면서 업어치면 되긴 한다) - 설치 진행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서 원하는 폴더로 설치를 하면 설치는 바로 끝난다.
별다른 다른 점이 없다면 그냥 '다음' 버튼을 계속 눌러서 진행하면 된다.
일단 이번에는 가볍게 다운로드와 설치만 알아보았다.
다음 장 부터는 기능 하나하나에 대해서 자세히 진행해 보겠다.
반응형
'DB관련 > MySql, Maria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eaver 사용법 정리(5) (0) | 2025.01.13 |
---|---|
DBeaver 사용법 정리(4) (0) | 2025.01.06 |
DBeaver 사용법 정리(3) (0) | 2025.01.05 |
DBeaver 사용법 정리(2) (0) | 2025.01.01 |
dbeaver 엑셀 import (0) | 2021.01.29 |
RECENT COMMENT